브루더호프의 아이들 - 대중매체
오늘날 부모들이 자녀들을 그리스도의 가르침대로 키우려할 때 가장 힘든 일은 대중매체와 맞서 끝없는 전투를 치르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문란할 섹스와 범죄, 과소비와 사이비종교 의식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수없이 많은 프로그램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보고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한 아이가 16세까지 텔레비전에서 약 200,000회의 폭력 장면을 보고, 18세까지는 40,000회의 성적 흥분을 유발하는 장면들을 접한다고 한다. 짧은 기간만이라도 대중 매체의 가치관에 끌리지 않은 채 성인기를 들어서는 사람은 매우 적으며, 자신들이 보고, 듣고, 읽는 것에 최면 걸리지 않은 채 성인기에 접어드는 사람은 더 적다.
시간마다, 날마다, 우리의 아이들은 추하고 폭력적인 이미지에 집중 폭격을 당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심리학자들도 인정하듯이, 이러한 이미지들은 결코 중립적이지 않으며 행동으로 드러나게 된다.
오랫동안 교도소 재소자들을 상담하면서 거듭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 하나 있다. 그것은 미국의 젊은이들은 자신의 욕구불만과 공상을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스크린의 우상들이 보여준 폭력적인 방법을 모방해서 분출한다는 것이다. 작가 매리 파이퍼가 말했듯이 “ 지금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아이들이 실제 사람들이 아니라 텔레비전의 등장 인물들을 통해서 행동하는 법을 배우는 시대이다”
부모들이 물살을 거슬러 헤엄치려고 애쓸 때에도, 결과는 실망스러운 때가 많다.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책임감과 동정심, 정숙과 순결의 가치관을 심어주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바로 그때에, 텔레비전, 영화, 라디오, 화려한 잡지들은 완전히 반대되는 것 - 무책임, 복수심, 이기심, 문란한 성생활 -을 팔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게다가 홈 비디오, ‘성인 전화서비스, 인터넷은(엄청난 긍정적인 잠재력으로도 불구하고) 포르노 상품들이 곧바로 우리 자녀들의 방에 들어오는 것을 점점 더 쉽게 만들고 있다.
불행하게도, 상황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의 잇따른 경고에도 불구하고, 세태를 염려하는 부모와 교육자들과 목회자들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대중 매체들이 자신들이 토해내는 것의 상당 부분이 해롭다는 것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과 라디오 그리고 특히 인쇄 매체의 상품들은 해가 갈수록 점점 더 외설적이 되어간다. 어제의 포로노그라피가 오늘은 그저 평범한 광고가 되어버리는 실정이다.
우리가 대중매체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우리가 주도권을 가지고 아이들을 우리가 정말 원하는 방식으로 키우지 못하기 때문인 것 같다. 우리들 가운데 대중매체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이 아이들을 황폐하게 한다는 것을 모르는 부모는 없다. 그럼에도 여기에 대해 말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행동으로까지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내 친구 하나가 강연 도중에 청중에게 텔레비전이 자녀들에게 나쁘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고 한다. 그러자 모든 사람이 손을 들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의 텔레비전 시청을 기꺼이 막을 용의가 있는 냐는 질문에는 아무도 손을 들리 않았다.
문제의 일부는 우리가 대중 매체에, 특히 텔레비전에 중독되어 있다는 사실을 우리 스스로 인정하길 꺼린다는 데 있다. 전직 매디슨 아베뉴의 편집자였으며 지금은 우리 브루더호르의 일원인 시빌 센더(Sibyl Sender)는 이렇게 썼다.
“ 누구나 이렇게 생각할 지 모르겠다. ‘ 하지만 나는 달라, 나에게는 나만의 가치관이 있어. 그리고 내가 보거나 읽는 그 무엇도 나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수는 없어, 내가 당신의 할머니를 죽이는 이야기를 읽는다고 해서 이것이 내가 달려나가 그렇게 할 것이라는 뜻이 아니지 않는가? ’
맞는 알이다. 하지만 대중 매체가 당신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묘하다 당신은 자신의 태도가 서서히 변하고 있다는 것도 눈치채지 못한다.
당신이 착하고 상냥한 사람, 믿을 만하고 우애 있으며 건전한 사람이 되려 한다고 해 보자, 당신을 살인, 방화, 강간을 가르치는 대학에서 전액 장학금을 주겠다는 제의가 들어오면 그 제의를 받아들이겠는가? 어떤 사람이 이방의 우상를 섬기는 의식에 당신을 초대한다면 거기 참석하겠는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진실은 이렇다. 당신이 보통의 미국인이라면 당신은 이미 포르노그리피 유치원, 공포물 초등학교, 마약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지금은 무제한의 폭력에 대해 박사학위 과정을 밟고 있다. 당신은 학교 선생님들이 가르쳐주는 주는 것을 배우는 데 쓴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범죄자처럼 사는 방법을 배우는 데 썼다. 이것은 당신이 학창시절에 교실에서 두 시간을 보냈다면 세시간은 텔레비전 앞에서 보냈기 때문이다.
당신의 가정은 사원이 되었으며, 당신의 가족은 신도가 되었고, 텔레비전 수상기는 비열한 종교의 인기있는 사제가 되었다. 당신은 어떤 수도사보다도 예배에 더 많이 참석한다. 당신은 텔레비전이 당신에게 오락을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당신에게 설교를 하고 있다. 텔레비전은 당신의 학교이자 종교이다. 텔레비전은 당신의 어머니, 아버지, 자매, 형제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당신은 다른 어떤 식구들보다 텔레비전에 훨씬 더 귀를 기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텔레비전은 당신의 가족이기도 하다.
텔레비전에서 무엇이 나오는지는 말할 필요가 없다. 당신이 이미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당신은 대부분의 경우 텔레비전이 말하는 가치관이 당신의 가치관과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당신은 시청을 멈출 수 없다.“
이것이 누구의 잘못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면 온갖 변명을 다 듣게 될 것이다.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이 텔레비전에서 무엇을 보며 라디오에서 무엇을 듣느냐는 궁극적으로는 그들의 책임이 아니라 프로그램 제작자들의 책임이라고 느낀다. 어떤 부모들은 그 책임이 일차적으로는 제작자들에게 있지만, 정부 또한 검열과 통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부모들은 자녀들이 대중매체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면 그들이 사회적으로나 지적으로 우둔해지고 학교에서 따돌림을 받지 않을까 걱정한다. 그런가 하면, 어떤 부모들은 자녀들을 세상의 ‘힘든 현실’에서 떼어놓는 것은 지혜롭지 못하다고 느낀다.
이런 부모들은 몇가지 면에서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첫째, 대중 매체는 양방통행이다.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진공에다 방송하는 게 아니다. 이들은 청중들이 원하는 것을 방송한다.
둘째, 지난 몇 십 년간 일어나고 있는 믿을 수 없는 도덕적 부패는 정부가 법률로 도덕을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셋째, 자녀들의 텔레비전 시청을 줄이는 부모들은 그들이 독서나 건설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녀들을 보호하고 인도하는 것은 지혜로울 뿐만 아니라, 부모의 가치관을 자녀들에게 물려주는 유일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우리 아이들이 텔레비전에서 보는 것. 라디오에서 듣는 것, 또는 인터넷에서 접하는 것을 정말 걱정한다면, 우리는 아이들이 보는 내용이 어떤지 계속 감시해야 할 것이다. 아이들은 자신들이 보고 듣는 것을 쉽게 받아들이고 그대로 따라가기 때문이다.
플러그를 뽑아버리는 것이 해답의 일부일 뿐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 아이들의 우선적인 휴식과 오락이라면, 아이들이 텔레비전 앞에서 허비하는 시간을 줄이도록 애쓰는 만큼 새로운 관심사를 찾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부모들은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함께 하고 아이들의 삶에 더 깊이 관여할 마음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텔레비전을 보지않는 브루디호프 공동체의 어린이들과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가정들 (코네티컷주의 파밍턴에서는 공립 도서관이 텔레비전끄기 운동을 성공적으로 시작했다)은 집에서 텔레비전을 없애는 것이 매우 좋은 출발점이라는 것을 증거하고 있다. 일단 텔레비전이 사라지면, 당신 주변이 온전히 새로운 세상 - 진짜 세상 - 으로 변하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자녀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전에 없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이 시대의 주도적인 흐름에 강하게 맞서 싸우느라 좌절과 외로움을 느끼는 부모들에게 이 말을 해주고 싶다. ‘포기하지 말고 흔들리지 말라. 하느님께 대한 경외와 사랑으로 자녀들을 가르치라. 이것은 하느님과 당신 자신, 그리고 당신 자녀들에 대한 의무이다.’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읽기의 중요성 (브르더호프의 아이들) (0) | 2012.12.03 |
---|---|
브루더호프신앙교육 (0) | 2012.12.03 |
Forum에관하여 (0) | 2012.12.03 |
노인과노인심리 (0) | 2012.12.03 |
늙음의참뜻-현석호 (0) | 2012.12.03 |